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교육/연구

전기공학과,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 2024’에서 우수 역량 입증

작성자기획과  조회수350 등록일2024-06-03
국립한밭대학교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jpg [743.5 KB]

- 학술대회 일환으로 진행 중인 분야별 워크숍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 확인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이 오는 617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리는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CVPR,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24본 대회에 앞서 진행되고 있는 분야별 워크숍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고 3일 밝혔다.

 ○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국제컴퓨터비전재단(CVF)이 매년 공동 주최하는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3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관련 분야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지는 메인 트랙과 보다 세분화된 분야별 워크숍이 함께 개최된다.

먼저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권희원, 조선희, 조혜정 학생)VizWiz Grand Challenge Workshop에서 주최하는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에서 1위를 기록했다.

 ○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는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 도메인 일반화(Domain Generalization) 등의 주제와 관련된 챌린지로 모델을 학습시킨 데이터의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을 가지는 데이터에서도 모델이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그리고, 챌린지에서 제공한 데이터는 정답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 정 교수 연구팀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의 한 분야인 테스트 타임 적응(Test-time Adaptation)과 관련한 다양한 모델을 탐색했고, 챌린지 데이터 셋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했다.

, 해당 연구팀은 PBVS(Perception Beyond the Visible Spectrum) Workshop에서 주최하는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 챌린지 TISR(Thermal Image Super-Resolution) Challenge Track 1에서 이미지 저장이나 전송, 압축, 영상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상 화질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최대 신호 대 잡음비(PSNR, Peak Signal-to-noise ratio)에 대해 4, 변형된 영상의 구조적 유사도를 측정하는 지수(SSIM,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 TISR 챌린지 Track 1은 이미지 초고해상도(Image Super-Resolution)와 관련된 챌린지로 저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8배로 업스케일하여 초고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며, 연구팀은 기존 이미지 초고해상도에 사용되던 여러 모델을 재현하고, 열화상 이미지에 적합하게 모델을 수정해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를 위한 모델을 발표했다.

, HBNU(조혜정, 권희원, 조선희 학생)으로 참여한 MIPI(Mobile Intelligent Photography and Imaging) Workshop 2024에서는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에서 6위를 기록했다.

 ○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는 이미지 노이즈 제거 기술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HBNU팀은 챌린지에서 제공하는 모델을 재현하고, 모델에 파인튜닝(Fine-tuning) 작업을 진행하여 이미지 노이즈 제거 모델을 구성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미지 노이즈 제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CVPR은 구글 학술검색 기준 전 세계 전 분야 논문지(콘퍼런스 및 저널) 4위로, 1위는 Nature, 3위는 Science, 8위는 Cell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