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교육/연구

게시물 검색
전기공학과,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 2024’에서 우수 역량 입증 이미지
전기공학과,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 2024’에서 우수 역량 입증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61
  • - 학술대회 일환으로 진행 중인 분야별 워크숍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 확인□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이 오는 6월 17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리는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CVPR,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24 본 대회에 앞서 진행되고 있는 분야별 워크숍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고 3일 밝혔다.○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국제컴퓨터비전재단(CVF)이 매년 공동 주최하는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3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관련 분야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지는 메인 트랙과 보다 세분화된 분야별 워크숍이 함께 개최된다.□ 먼저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권희원, 조선희, 조혜정 학생)은 VizWiz Grand Challenge Workshop에서 주최하는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에서 1위를 기록했다.○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는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 도메인 일반화(Domain Generalization) 등의 주제와 관련된 챌린지로 모델을 학습시킨 데이터의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을 가지는 데이터에서도 모델이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챌린지에서 제공한 데이터는 정답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 교수 연구팀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의 한 분야인 테스트 타임 적응(Test-time Adaptation)과 관련한 다양한 모델을 탐색했고, 챌린지 데이터 셋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했다.□ 또, 해당 연구팀은 PBVS(Perception Beyond the Visible Spectrum) Workshop에서 주최하는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 챌린지 TISR(Thermal Image Super-Resolution) Challenge Track 1에서 이미지 저장이나 전송, 압축, 영상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상 화질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최대 신호 대 잡음비(PSNR, Peak Signal-to-noise ratio)에 대해 4위, 변형된 영상의 구조적 유사도를 측정하는 지수(SSIM,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TISR 챌린지 Track 1은 이미지 초고해상도(Image Super-Resolution)와 관련된 챌린지로 저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8배로 업스케일하여 초고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며, 연구팀은 기존 이미지 초고해상도에 사용되던 여러 모델을 재현하고, 열화상 이미지에 적합하게 모델을 수정해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를 위한 모델을 발표했다.□ 또, HBNU팀(조혜정, 권희원, 조선희 학생)으로 참여한 MIPI(Mobile Intelligent Photography and Imaging) Workshop 2024에서는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에서 6위를 기록했다.○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는 이미지 노이즈 제거 기술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HBNU팀은 챌린지에서 제공하는 모델을 재현하고, 모델에 파인튜닝(Fine-tuning) 작업을 진행하여 이미지 노이즈 제거 모델을 구성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미지 노이즈 제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CVPR은 구글 학술검색 기준 전 세계 전 분야 논문지(콘퍼런스 및 저널) 중 4위로, 1위는 Nature, 3위는 Science, 8위는 Cell이다.
  • 등록일2024-06-03 16:45:04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대학원 부문 ‘최우수’ 이미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대학원 부문 ‘최우수’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46
  • - 반도체 분야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고급인재 양성 노력 지속□ 우리 대학이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에서 대학원 부문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청년의 진학과 조기취업의 욕구를 동시에 달성하고 중소중견기업의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조기 확보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교육부 주관 사업이며, 우리 대학은 이번 결과로 2차년도 24억 3,4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번 연차평가는 선발학생 수, 채용약정 학생 수, 참여기업 수, 교육과정 운영, 인프라 구축, 사업 관리 등 다양한 성과지표를 기준으로 실시됐으며,○ 우리 대학은 △대학 내 반도체 특화형 교육연구시설인 창의융합교육센터 공간 및 반도체 전문 장비의 체계적 구축 △RISE 체계로의 전환에 대비한 대전지역 연계 활동 성과의 다양성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채용약정기업과의 적극적 수요 반영 노력 실적 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립한밭대는 지난해 충청권 대학 중 해당 사업에 유일하게 선정되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과 지역 반도체 산업의 도약을 목표로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석박사 과정을 운영 중이다.□ 오용준 총장은 1차년도 연차평가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국립한밭대 구성원과 채용약정기업, 지역사회가 다 함께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이번 결과에 안주하지 않고, 첨단반도체 산업 분야에 기여하는 융복합적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은 2024학년도 후기 대학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석․박사과정 신입생을 오는 7월 3일까지 모집하며, 자세한 사항은 학교 누리집(https://www.hanbat.ac.kr) 또는 학과 누리집(https://www.hanbat.ac.kr/semi/)을 참조하거나 학과 사무실(042-828-8757)로 문의하면 된다.
  • 등록일2024-05-31 16:36:14
LINC 3.0 2차년도 연차평가 ‘최우수’ 이미지
LINC 3.0 2차년도 연차평가 ‘최우수’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6
  • - 지역혁신 발전 위한 지산학연 협력 선도 노력 지속□ 3단계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 3.0)이 2차년도 연차평가에서 최우수를 받아 3차년도 41억 4,8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국립한밭대 LINC 3.0 사업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이라는 비전하에 진화형 인재양성 대학과 개방형 기업가적 대학 달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시장경험 교육 △미래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미래경험 △대학과 기업 간 교차경험이라는 3대 추진전략을 적극 추진해 왔다.□ 이번 연차평가는 핵심성과지표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산학협력 활동 등으로 구성된 정성평가로 진행됐으며, 국립한밭대는 2차년도 성과와 3차년도 계획이 우수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정성적인 측면에서 △산학협력 발전계획 비전 달성을 위한 대학 발전계획과의 연계 실적 양호와 대학의 자원투입과 지원을 통한 성과의 다양성 △산학연연계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수립한 전략과 성과 창출의 우수성 △대전시 전략산업 및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로봇‧물류, 나노‧반도체‧바이오, 우주‧국방 분야 3개 ICC 선정 관리 및 운영 실적 우수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승한 LINC 3.0 사업단장은 이번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3차년도 세부 사업계획을 보완해 2025년 RISE 체계로의 연착륙과 지역혁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립한밭대학교는 대전권대학 산학협의체 회장교로서 지역 대학과 지자체를 연계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LINC 3.0 사업 3차년도에서 지․산․학․연 간 상호 발전적 협력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는 한편, RISE 체계도 충실히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 등록일2024-05-27 16:16:26
‘대전 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 선정  이미지
‘대전 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 선정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9
  • 충남대, 한남대,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와 컨소시엄 구성, 3년간 총 60억 원 지원□ 우리 대학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총 60억 원 규모의 대전 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우리 대학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충남대, 한남대,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대전산업단지는 지난 20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으로 선정됐으며, 본 사업을 통해 스마트 제조인력 고도화 교육과정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이루고, K-제조업 신성장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국립한밭대 컨소시엄은 2026년까지 연 20억 원씩 총 6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재직자 및 취업준비생 교육을 실시하여 현장문제해결형 기업캡스톤디자인, 석박사급 인력양성 등 대전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의 디지털전환을 견인할 인재들을 양성하게 된다.□ 본 사업 책임자인 산업경영공학과 김태구 교수는 국립한밭대 컨소시엄은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사업, 산업혁신인재양성사업,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 캠퍼스혁신파크사업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는 우수 역량을 갖춘 대전 지역 대표 대학들과 재직자 전문교육기관으로서, 한마음으로 대전산업단지가 노후 산단에서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모범 산단으로 거듭나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지난 4월, 차세대 국방․우주산업의 부품 공급망 구축에 필요한 3D프린팅 기술 확보를 위해 산․학․연 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공동제조센터 구축을 통해 대전산업단지를 국방․우주 소부장 공급기지화 하는 국방․우주 소부장 3D프린팅 공동제조 구축사업에도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학교는 첨단산업 분야의 우수인력 배출 및 기반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대전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과 국방․우주 소부장 3D프린팅 공동제조센터 구축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대전산업단지의 디지털 인프라 확대 및 친환경 탄소저감 산업단지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등록일2024-05-10 17:24:14
충남대-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선정 이미지
충남대-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선정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86
  • 충남대학교와 국립한밭대학교가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에 선정됐다.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가 4월 16일,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을 선정, 발표한 가운데 통합기반 혁신으로 응모한 충남대와 국립한밭대가 선정됐다.글로컬대학위원회에 제출한 혁신기획서에 따르면 충남대와 국립한밭대가 글로컬대학 추진하는 글로컬대학 사업의 핵심 키워드는 CHANGE (Chungnam-Hanbat Activate iNnovation 로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원, 지자체 및 지역 혁신 주체와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을 통해 초격차 연구와 지역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글로컬 대학이 되어, 과학 수도 재창조와 대한민국의 혁신을 이끌어내고 변화(Change)를 선도하는 대학이 되는 것이 혁신 비전의 목표다.충남대와 국립한밭대는 선도모델로 독일 전역에 76개의 연구소와 3만여명의 직원이 연간 30억 유로의 예산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유럽 최대의 응용과학연구소로인 프라운호퍼형 응용융합연구원을 벤치마크했다. 대학과 정출연이 공동으로 프라운호퍼형 응용융합연구원을 설립해 대학 연구자, 정출연 연구자, 후속 세대 연구 인력 등 지자체의 혁신 연구 역량이 대학 캠퍼스에 입지한 공동 연구 플랫폼과 공동 교육 플랫폼을 통해 교육과 연구 역량을 극대화해 노벨상급 석학 원장 초빙, QS 100위권 학분분야 10개 육성, 응용연구원 J.A(Joint Appointed) 교원 및 연구원 1,000명 등 전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 학석박 연계 교육과 연구 역량을 갖춘다는 계획이다.이와 함께 초격차 R의약바이오와 국방융합 분야 중심으로 딥테크 기술 발굴부터 맞춤형 사업화까지 전주기 지원 거버넌스 구축에 나서, 대학이 지역전략산업 육성의 Think Tank로서의 역할을 넘어 Action Tank로 기능하도록 할 계획이다.국립한밭대와 충남대는 경험중심 융합교육 실현을 위해 올린공과대학을 벤치마크해, Change 융합대학을 중심으로 미래형 인재양성을 위한 학사구조를 혁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립한밭대는 지난 2월 올린공과대학과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올린공과대의 교육모델을 아시아지역에 확산하는 허브대학으로의 기틀을 마련했다.1학년은 문해력과 기초과학역량 강화, AI 의무교육 및 진로 설계 교육, 2~3학년은 심화융합자기설계산학연계기업수요 전공 등 전공의 다양성을 높이고, 4학년은 인턴집중연구 학기제, 마이크로디그리, 모듈전공 등 자기 선택성을 높이며 대학원 과정까지 연계하는 등 학과와 단과대학의 경계를 뛰어넘는 인재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전문성과 융합 기반의 수요자 중심 브릿지 교육에 나설 계획이다.또한, 국립대학교 최초로 국내-해외 글로벌 오픈캠퍼스 구축을 통해 국내 대학의 글로벌 수출과 글로벌 연구중심 대학으로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글로벌 오픈캠퍼스는 충남대가 제시한 국립대학의 해외 수출 선도모델로,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 교육과정 운영, 공동연구센터 설치 및 운영과 연구 협력, 대학 간 학생 상호 교류 등 국내 대학의 글로벌 진출과 연구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연구 중심 국립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베트남 하노이과학기술대학, 베트남국립농업대학, 모나시대학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 인도네시아 IPB대학 등과 글로벌 오픈캠퍼스 구축을 위한 MOA를 체결하는 등 해외에 현지 글로벌센터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립한밭대 또한 베트남경제대학 등과 MOA를 체결했으며, 체코 등 동유럽 대학을 포함하여, 베트남 교육부, 노동부와 협력하여 해외우수연구인력 유치프로그램을 강화하기로 했다.대학 간 통합 혁신을 선택한 충남대와 국립한밭대는 지난 1월, 충남대학교-국립한밭대학교 글로컬대학30 사업 및 대학 간 통합 추진을 위한 합의문에 서명하고 글로컬대학 사업과 통합 추진 과정에서 양 대학이 상호 존중하고 지속적으로 조율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이와 관련해 대전시는 글로컬대학 사업을 위해 직접 투자 2,000억원, 간접 투자 6,400억원 등 총 8,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한 강력한 지원을 약속했을 뿐 아니라, 2024년 글로컬대학 사업의 혁신기획서 작성을 위해 지난 2월,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지산학연 28개 관련 기관이 대전시와 대전 소재 혁신기관의 과학기술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지산학연 혁신 주체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이번 2024년 글로컬대학에 예비지정됨에 따라 본지정 평가를 위해 충남대와 국립한밭대, 대전시는 공동으로 구체적인 본지정 실행계획을 수립한 뒤 6월 말까지 실행계획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교육부 등은 본지정 실행계획서를 평가해 7월중 본지정 발표, 8월초 본지정 결과를 확정할 방침이다.충남대 김정겸 총장은 충남대, 국립한밭대 양 대학 구성원은 물론 대전시와 지역혁신기관, 지역민들의 성원 덕분에 글로컬대학 예비지정에 선정될 수 있었다며 대학 구성원과 세심히 논의하고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는 한편, 충남대, 국립한밭대, 대전시가 함께 본계획서 작성에 최선을 다해 반드시 글로컬대학 본지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와 충남대가 혁신기획서에 담은 내용들을 토대로 남은 기간 동안 구체적인 실행방안들을 더욱 세밀히 마련하여 지역의 성장을 견인하고 대한민국의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는 대학이 될 수 있도록 글로컬대학 본지정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등록일2024-04-16 09:23:51
최원산 교수 연구팀,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제’ 개발 이미지
최원산 교수 연구팀,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제’ 개발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98
  •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최원산 교수 연구팀이 물을 보조필터로 쓰는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를 위한 양쪽성 자성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최 교수 연구팀은 서로 다른 2개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친수성 및 소수성 소재의 최적 조합 비율을 찾아내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본 연구를 통해 습식 에어필터는 에어필터 주변을 물이 에워싸고 있는 구조로, 미세먼지(PMs: Particulate Matters)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먼저 에어필터에 흡착되고, 흡착되지 않은 PM/VOC가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계하여 추가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로써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필터의 과부하를 막아주어 장시간 사용에도 낮은 압력강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HEPA필터(H13)의 성능을 뛰어넘고 주기적인 물 교체만으로 에어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최 교수 연구팀은 또 다른 연구의 하나로, 환경오염과 인체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주목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제거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MPs: Microplastics)은 플라스틱 및 일회용 제품 등에서 발생하는데, 보통 소수성을 보이지만 자연계에서 물리/화학적 식각/산화과정을 거치면서 친수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연구는 친수성 MP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MP 배출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세탁기로부터 배출되는 MP는 소수성을 보이므로 친수 및 소수 MP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소재 및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자성나노입자 표면에 친수/소수성 소재들이 최적의 조합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면 물 및 기름에 안정적으로 분산 될 수 있음을 증명했고, 랩 테스트(친수 및 소수 MP 제거효율: 98.9% 및 97.8%) 및 산업체 폐수 테스트(MP 제거효율: 95.8%)에서도 뛰어난 제거 효율 및 재사용을 확인하여 상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학술지의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최 교수는 물이 곧 보조 필터로 향후 에어필터 설계․제작 시 반드시 고려돼야 할 새로운 방향 및 기준을 마련한 점과 어떤 환경(물/기름/물․기름)에서도 친수 및 소수성 MP의 제거가 가능한 전천후 미세플라스틱 제거제 개발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지원을 받아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엘스비어(Elsevier) 및 미국화학회(ACS) 발행 국제학술지 Separation및 ACS Applied 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 2024년 4월호에 각각 게재됐다.
  • 등록일2024-04-12 09:18:17
‘2023 글로벌 인재양성 성과발표회’ 성료 이미지
‘2023 글로벌 인재양성 성과발표회’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9438
  • □ 우리 대학은 18일 교내 국제교류관에서 학생 및 교직원 8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2023 글로벌 인재양성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발표회는 지난 2023년에 국립대학 육성사업으로 진행한 글로벌 디자인 싱킹 캠프, 이와테대학교 및 치앙마이대학교와의 국제캡스톤디자인, 카가와대학교, 몽골국립과학기술대학교와의 교류 등 양방향 학생교류를 통한 글로벌 역량강화 통합사업의 성과를 공유․확산하고 2024년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각 사업 프로그램을 진행한 화학생명공학과 이충곤 교수, 기계공학과 신부현 교수, 건축공학과 김동수 교수, 신소재공학과 신기현 교수가 주요 성과를 발표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 제언했으며, 제시된 의견으로는 사업의 지속성 확보와 교수 연구 분야로의 협력 확대 등이 있었다.□ 대학혁신본부 오민욱 본부장은 본 사업을 통해 학생 교류라는 교육적 성과를 넘어 문화와 학문 교류로 이어져 국립한밭대학교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하며, 2024년에도 사업이 지속적으로 시행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등록일2024-01-19 20:39:25
‘체계적 수업설계를 위한 강의계획서 작성법’ 교수법 세미나 개최 이미지
‘체계적 수업설계를 위한 강의계획서 작성법’ 교수법 세미나 개최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344
  • □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는 10일 교내 국제교류관에서 교수와 강사 약 70명을 대상으로 2024년 첫 교수법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교수법 세미나는 새 학기를 맞이하여 체계적인 강의계획서 작성과 효과적인 수업설계를 도모하고자 마련됐으며, 경일대학교 평생교육학부 유미나 교수가 체계적 수업설계를 위한 강의계획서 작성법을 주제로 강의했다.□ 세미나에서는 체계적인 강의계획서 작성을 위한 ▲좋은 수업(체계적 수업)의 정의 ▲강의계획서 작성의 중요성 ▲좋은 강의계획서 예시 ▲강의계획서 작성방법 등에 대해 다루었다.○ 유 교수는 강의계획서 작성을 단순히 행정적인 일로 취급해서는 안된다며, 좋은 강의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은 성공적인 강의의 첫 걸음이다라고 말했다.□ 특히 우리 대학은 이번 달 23일까지 2024학년도 1학기 강의계획서 작성 기간으로, 참여 교수들은 강의계획서 작성과 수업준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며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번 교수법 세미나를 주관한 김주리 교수학습센터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교수님들께서 강의계획서 작성의 중요성을 새로이 인식하고, 새 학기 수업 준비에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 교수학습센터에서는 혁신적 교수법 적용수업 운영 지원, 교수법 세미나, 수업공감토크, 강의컨설팅 등 다양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체계적인 수업설계 및 운영을 돕고 있다.
  • 등록일2024-01-11 20:22:37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 성과 전시 이미지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 성과 전시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434
  • □ 우리 대학이 21일 개최한 2023 산학협력 Fair에서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 프로젝트 성과를 선보였다.○ 2023년부터 운영 중인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은 산업디자인학과와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화학생명공학과가 참여하여 메타버스 분야에서의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신설한 융합전공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번 산학협력 Fair 행사장에 직접 디자인한 메타버스 공간과 아바타 작품을 전시하고,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수업에서 진행한 메타 갤러리 프로젝트와 메타 아바타 프로젝트 결과물을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를 착용하여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꾸몄다.○ 산업디자인학과 한정우 학생은 제가 디자인한 것을 실재감 있게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힐 수 있어 유익했고, 수업을 통해 메타버스 분야에 비전을 가지게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책임교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술 교육으로 디자인 융합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다중전공을 개설하게 됐다라며, 디지털 산업의 선두주자로 성장할 차세대 인재를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우리 대학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은 최신 기술과 실무 경험 교육을 중심에 두고 메타버스 플랫폼, 메타버스 모델링, 메타버스 콘텐츠, 융합디자인 스튜디오 등의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에서 학생들이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등록일2023-11-21 16:3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