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일반/홍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162
,
페이지
11
/ 117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산업디자인학과,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특별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2620
산업디자인학과,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특별전시회 개최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Held Special Exhibition on Public Design Projects Contributing to Community- 5년간 진행한 총 13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117개의 작품, 갤러리M에서 전시- A total of 13 public design projects that had been carried out for 5 years, 117 works had been exhibited in gallery M.□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 산업디자인학과가 오는 23일까지 대전MBC 1층에 있는 갤러리M에서 지난 5년간 진행해 온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ould hold a special exhibition at Gallery M on the first floor of Daejeon MBC until the 23rd to show public design projects that had been in progress for five year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Our City, Designed by Us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로컬 크리에이터 양성을 목표로 진행된 그동안의 지역사회 기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다시 한 번 만나볼 수 있는 자리이다.○ The exhibition, held under the theme of 'Our City, Designed by Us', is a place to meet the public design projects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that had been conducted to foster local creators once again.○ 국립한밭대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교수의 기획․지도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된 13개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와 117개의 학생 작품이 전시되며, 시도․향유․시선․도전․참여 다섯 가지 테마로 구성했다.○ With the planning and guidance of Professor Kim Ji-Hyun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13 public design projects and 117 student works that proceeded from 2019 to 2023 were displayed, and they are composed of five themes: try, engagement, gaze, challenge, and participation.○ 첫 번째 테마인 시도는 실제로 한밭대 주변 보행로 조성에 변화를 가져왔던 한밭컬쳐 스페이스와 관련 전시 프로젝트들을 선보이고, 두 번째 향유는 지역 축제에 참여하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e first theme, try, presents the Hanbat Culture Space and related exhibition projects that changed the creation of pedestrian paths around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the second, enjoyment, shows the process of creating new experiences by participating in local festivals.○ 세 번째 시선은 학생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던 소제록 프로젝트를, 네 번째 도전은 국립한밭대학교 중앙광장 디자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개선한 과정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참여는 대전관광공사와 협업하여 대전을 직접 브랜딩하고 디자인한 작품을 소개한다.○ The third, gaze, contains the Soje-rok project that tried to convey the message of students, and the fourth "challenge" includes the process of actively participating and improving the design of the central square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Finally, "participation" introduces works that directly brand and design Daejeon in collaboration with the Daejeon Tourism Organization.□ 김지현 교수는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했던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재조명해 그 의미를 보여주는 뜻깊은 자리이다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확대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할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Professor Kim Ji-hyun said, "It is a meaningful place to re-examine public design projects that wan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and show their meaning, We hope that this exhibition will expand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nd discover many local creators who will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07-18 09:59:03
글로컬대학30 사업 투표 결과 찬성 76.95%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020
- 전체 투표율 60.96% 중 찬성 76.95%- 구성주체별 교수 90.73%, 직원조교 74.24%, 학생 76.36% 찬성□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지난 9일(화)부터 11일(목)까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투표시스템을 활용해 실시한 글로컬대학30 사업 및 대학통합 추진에 대한 대학 구성원 의견 찬반 투표 결과를 12일 공개했다.○ 국립한밭대는 이번 투표에 앞서 지난 6일 충남대가 발표한 담화문 내용에 대응하여 투표 일정을 하루 연기하며, 지난 8일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긴급하게 설명회를 가졌다.○ 충남대는 담화문에서 통합대학의 교명은 충남대학교로 하고, 강제적 학과 통폐합 및 캠퍼스 재배치는 추진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제시했으며, 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으면 찬반 투표에서 50% 이상의 찬성의견이 나오더라도 글로컬대학30 실행계획서를 제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립한밭대는 담화문을 통해 교육부에서 제시한 원칙에 따라 예비지정 혁신기획서를 반영한 본지정 실행계획서 작성, 유사중복학과 통폐합, 구성원 보호조치, 양교 의견수렴을 통한 교명 결정 등의 원칙을 발표했다.□ 국립한밭대학교는 이에 근거하여 교직원과 학생 모든 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국립한밭대학교가 제시한 글로컬대학 사업 및 통합 추진 원칙안이 반영되는 글로컬대학사업 추진에 동의하는가?에 대해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이번 투표에는 총 투표인단 9,065명 가운데 5,526명이 참여해, 60.96%의 참여율을 기록했으며, 개표 결과 찬성 4,252표(76.95%), 반대 1,274표(23.05%)로 나타났다.○ 구성주체별로는 교수 참여율 86.05%에 찬성 90.73%, 직원조교 참여율 80.07%에 찬성 74.24%, 학생 참여율 59.42%에 찬성 76.36%를 기록했다.□ 한편, 국립한밭대 관계자는 충남대학교가 통합대학교 교명을 충남대학교로 하지 않으면 글로컬대학30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는다는 담화문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 국립한밭대학교의 원칙안을 지켜야 한다는 구성원 의지가 이번 투표를 통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며, 향후 양교가 서로의 원칙과 기준을 어디까지 양보하여 합의에 이를 수 있는지가 중요하게 되었다라고 했다.
등록일
2024-07-12 17:03:56
글로컬대학30 사업 추진 관련 대학 구성원 의견수렴 투표 실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666
-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실행계획 및 통합추진에 대한 원칙 수정안 등 대학 구성원 대상 설명회 추가 개최로 투표 일정 하루 연기- 7월 9일(화) 10시부터 7월 11일(목) 17시까지 실시□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8일 대학혁신총괄위원회를 개최하고, 변경된 내용에 대한 구성원 설명회를 개최한 뒤 7월 9일부터 11일까지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실행계획 및 통합추진에 대한 원칙(안)에 대한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묻는 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투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 투표시스템을 활용해 진행되며, 국립한밭대학교 교수, 직원, 조교, 학생은 모두 참여대상이 된다.○ 투표 내용은 국립한밭대학교가 제시한 글로컬대학 사업 및 통합 추진 원칙안이 반영되는 글로컬대학사업 추진에 동의하는가?에 대해 대학 구성원의 찬반 의견을 묻는다.□ 국립한밭대 관계자는 지난 5일 통합 추진에 대한 원칙안이 일부 수정되면서 대학 구성원들에게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질의에 답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이에 따라 지난 5일과 8일 온오프라인으로 총 3회에 걸쳐 설명회를 추가 진행하게 됐고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투표도 본래 일정에서 하루 연기하게 됐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4-07-08 16:45:28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추진을 위해 통합 추진에 관한(안) 수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751
- 통합대학 교명에 있어 제3명의 교명 제정에서 양교 통합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명 결정으로 수정□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충남대학교와 함께 추진하는 글로컬대학30 본지정 및 양교 통합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통합 추진 에 관한(안)을 일부 수정하기로 했다.○ 국립한밭대학교는 지난 6월 27일 국립한밭대의 통합 추진에 관한 (안)을 충남대학교에 송부했고, 충남대학교로부터 충남대의 원칙(안)을 지난 3일 회신 받았다.□ 이에 국립한밭대는 4일 통합기획위원회를 개최하여 양교의 안을 검토했으며, 수정된 안을 확정했다.○ 통합 추진에 관한(안) 중 교명은 기존의 제3의 교명을 제정한다에서 양교 통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교명을 결정한다로의 수정과 교명 후보 선정을 위해 교명선정위원회를 양교 동수로 구성하며, 구성원 의견수렴을 통해 교명을 선정한다 등의 내용으로 통합 추진에 관한(안)을 변경했다.○ 또한, 통합 추진에 관한 국립한밭대학교(안)에서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내용은 교육부의 본 계획서 집필 원칙에 따라 이미 양교가 합의하여 결정한 예비지정 혁신기획서의 내용에서 삭제, 축소하거나 후퇴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국립한밭대학교 관계자에 따르면,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성공을 위해 양교가 상호존중과 신뢰를 기반으로 합의해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기존의 통합 추진에 관한(안)을 수정할 필요성이 있었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4-07-05 16:03:20
오용준 총장,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동참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44
-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품 사용을 실천하겠습니다.- 다음 주자로 건양대 김용하 총장과 한남대 이승철 총장 지명□ 오용준 총장이 1일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를 통해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에 동참했다.○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은 일상생활 속에서 불필요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자 환경부가 시행 중인 릴레이 캠페인으 로 이를 통해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품 사용하기 △내가 쓴 제품은 분리배출까지 책임지기 등 지구 환경 보호를 위한 10가지 생활습관을 범국민적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총신대 박성규 총장으로부터 다음 참여자로 지명을 받은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이날 오전 일상생활 속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실천을 다짐하는 사진을 대학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에 올렸다.○ 오용준 총장은 최근 우리나라도 이른 더위가 찾아오고 매년 그 시기도 점점 빨라지고 있는데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는 특정지역, 어느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의 위기로 나타나고 있다며, 나 자신부터 먼저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를 실천하고 주변에도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 총장은 바이바이 플라스틱 캠페인 다음 참여자로 건양대학교 김용하 총장과 한남대학교 이승철 총장을 지명했다.
등록일
2024-07-01 11:05:12
‘Chat GPT 및 생성형 AI 활용 교수법’ 세미나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64
Chat GPT 및 생성형 AI 활용 교수법 세미나 성료'Teaching Methods Utilizing Chat GPT and Generative AI' Seminar Completed- 학생들의 학습능력 향상과 더 나은 교육 환경 조성 위해 생성형 AI 활용 방안 모색- Exploring ways to utilize generative AI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ies and xss-creat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교수학습센터는 지난 26일 Chat GPT 및 생성형 AI 활용 교수법을 주제로 교수 약 120명이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 교수법 세미나를 개최했다.□ The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held an online teaching method seminar on the 26th with about 120 professors participating under the theme of "Chat GPT and Generative AI Teaching Method".□ 이번 세미나는 미래교육아카데미 김진희 대표가 강사로 나서 교육 분야의 최신 기술 트렌드와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Chat GPT의 작동 원리 및 핵심기능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실습 △수업지도안, 교안작성 및 문서작성을 위한 구조화된 접근 방법 및 실습 △AI 최근 동향과 교육계에서의 활용 등에 대해 강의했다.□ Kim Jin-hee, CEO of the Future Education Academy, gave a lecture on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in education and how to effectively apply them to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focusing on △Chat GPT's operational principles and core functions △prompt, engineering practice △ Structured approaches and practices for teaching guide, creation of teaching plans and documents.△AI's recent trends and use in education.○ 김 대표는 Chat 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교육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강조하며, AI가 학생들의 학습 맞춤화를 도와줄 수 있는 방법과 교육자들이 이러한 기술을 통해 더 나은 교육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She emphasized the positive impact that Generative AI such as Chat GPT can have on education, specifically explaining how AI can help students customize their learning and how educators can provide better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these technologies.□ 이번 교수법 세미나를 주관한 김주리 교수학습센터장은 생성형 AI는 단순한 기술 도구를 넘어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앞으로 AI 기술을 수업에 접목해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Kim Joo-ri(director of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ho organized the seminar on teaching methods said "Generative AI has the potential to change the paradigm of education beyond just technological tools. We will continue to work to xss-creat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by incorporating AI technology into classes in the future."[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06-28 11:00:22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 원칙(안) 마련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961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 원칙(안) 마련Arrangement of Global University 30 and Guiding Principles for Integration- 7월 1일~4일, 2024년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실행계획 설명회 개최- From July 1 to 4, 2024 Global University 30 Designation Implementation Plan briefing session held□ 우리 대학은 27일 국립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글로컬대학30 및 통합추진에 대한 원칙(안)을 대학 구성원에게 공유하면서 글로컬대학30 본지정과 충남대학교와의 통합에 대한 대학의 구체적인 의지를 표명했다.□ On the 27th, Hanbat National University shared with university members the "Principles for the promotion of Hanbat NationalUniversity-Chungnam University Glocal University 30 and integration" and expressed the university's specific willingness to designate main Glocal University 30 and integrate wi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국립한밭대학교는 충남대학교와 함께 글로컬대학30 사업 추진 이전인 2022년 12월 28일 양교 간 통합논의 시작 선포식을 기점으로 통합논의를 이어왔으며, 2024년 1월 31일에는 글로컬대학30 사업 및 대학 통합추진에 합의했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as discussed the integration since the announcement ceremony on December 28, 2022, before the promotion of the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and on January 31, 2024, they agreed to promote the Glocal University 30 project and the university integration.□ 국립한밭대는 글로컬대학30 예비지정 단계에서 교육부에 제출한 혁신기획서 내용을 기반으로 사업추진과 통합 과정에서 양교가 합의해야 하는 사항들을 도출하고 자체적인 원칙(안)을 마련했다.□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novation plan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the preliminary designation stage of Glocal University 30, Hanbat National University drew up matters that the two schools have to agree on in the business promotion and integration and prepared their own principles.○ 이번 원칙(안)에는 초격차 R향후 양교가 원칙을 합의해 가는 과정에서 양 대학 구성원들의 이견이 있을 수 있겠으나, 상호 존중하고 인정하며, 지속적으로 조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Oh Min-wook, head of the planning department, said,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 members of the two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agreeing on principles in the future, but we will respect and recognize each other and continue to coordinate."○ 우리 대학은 오는 7월 1일에서 4일까지 대학 구성원(교수, 직원조교, 재학생(학부대학원)) 및 총동문회 등을 대상으로 총 8회에 걸친 2024년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실행계획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이때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실행계획서의 혁신 방향 및 통합 원칙(안)에 대한 설명과 구성원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From July 1 to 4, our university will hold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2024 Glocal University 30 Main Designated Action Plan Briefing" for university members (professors, staff, assistants, students (undergraduates and graduate students) and alumni meetings, and at this time, it will explain the innovation direction and integration principles of the Glocal University 30 main designated action plan and collect opinions from members.□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글로컬대학30 선정과 통합추진을 통해 양교가 지역 발전과 산업 활성화를 견인하는 경쟁력 있는 국립대학으로 성장하는 동력을 얻고 시대를 앞서가는 미래형 글로벌 선도대학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President Oh Yong-joon said, "Through the selection and integration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Chungnam University Glocal University 30, we will strive for the two schools to gain momentum to grow into a competitive national university that drives regional development and industrial revitalization and establish itself as a future global leading university ahead of its time."[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06-27 10:56:35
건축학과, 2024학년도 졸업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8
- 6월 20일부터 26일까지 국립한밭대 S10동 1층 갤러리목련에서 개최□ 우리 대학은 20일부터 26일까지 교내 갤러리 목련에서 건축학과 5학년 학생들의 노력과 열정이 담긴 졸업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IDEA(이데아)라는 제목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건축의 본질이자 영감의 원천인 IDEA를 주제로 학생들의 상상력이 현실과 만나 새로운 혁신과 아름다움으로 탄생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금년 졸업전시회에서는 학생들이 그동안 배우고 익힌 역량을 바탕으로 총 32점의 건축설계 작품을 선보이며, 5년 간 열정을 쏟으며 달려온 결실을 다양한 설계 디자인으로 표현했다.○ 전시회는 국립한밭대 S10동(디자인관) 1층에 있는 갤러리 목련에서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되며, 21일(금)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연장 관람이 가능하다.□ 건축학과 김덕수 학과장은 이번 졸업전시회는 학생들이 5년 동안 건축설계에 대해 고민한 흔적의 기록이며 졸업 이후 건축실무에서 마주하게 될 기회와 도전에 대비한 첫 걸음으로,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한밭대학교 건축학과는 2003년 5년제 전문학위과정으로신설되어 건축설계에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제건축학교육인증을 받는 등 안정적인 교육시스템을 바탕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창의적 건축 전문리더를 양성해 가고 있다.
등록일
2024-06-20 10:37:47
지역협력센터, 세종시민대학 집현전 연계 교육과정 운영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9
- 시민 아이디어 창업 챌린지 실전 강좌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 활성화 기여□ 우리 대학은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협력하여 지난 4월부터 10주간 운영한 세종시민대학 집현전 교육과정 시민 아이디어 창업 챌린지 실전 강좌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강좌는 시민들에게 창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제 창업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고자 마련됐으며, 창업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들이 창업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다양한 워크시트 활용 실습을 통해 창업에 대한 실전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 이론 교육은 창업의 기본 개념, 시장 조사, 비즈니스 모델 개발, 자금 조달 및 관리 등 창업에 필수적인 지식을 다루었으며, 실습 교육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워크시트를 활용한 사업의 실현 가능성 검증, 사업계획서 작성 등 사업계획 수립 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특히 실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수강생들은 창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지식과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었으며,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토론하며 협업 역량도 키울 수 있었다.□ 이번 강좌는 총 20명이 신청을 하여 14명의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교육용 생태환경키트 △시니어 대상 교육 플랫폼 △빅데이터를 이용한 실시간 예측 및 위기관리 시스템 △발효 식초 △홀로그램을 이용한 대안 교육 플랫폼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템들을 발굴하고 이를 실전 창업으로 이어갈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과 고도화 단계도 진행했다.□ 강의를 맡은 지역협력센터장 서준석 교수는 이번 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이 창업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됐으며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창업 문화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하고, 앞으로도 국립한밭대학교의 다양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4-06-18 10:33:09
글로컬대학30 사업을 위한 캠퍼스 특성화 관련 대토론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1
- 캠퍼스 특성화 모델(안) 연구 결과 등 설명하고, 구성원과의 질의응답 및 제안사항 의견 수렴□ 우리 대학은 11일 학내 구성원을 대상으로 글로컬대학30사업을 위한 캠퍼스 특성화 관련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대토론회에는 오용준 총장, 오민욱 기획처장 등이 참석해 교원, 직원, 조교를 대상으로 충남대와의 통합기반 캠퍼스 특성화 모델 및 캠퍼스 재배치 연구 결과 등을 설명하고, 질의응답과 함께 구성원의 제안사항을 수렴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대학은 지난 4월 충남대와의 통합에 기반한 혁신기획서를 제출하여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으로 선정된 후 △총학생회와의 소통 간담회(5.16.(목)) △총동문회 간담회(5.23.(목)) △학과장 설명회(5.29(수), 5.30.(목)) △교수평의회 설명회(6.10.(월)) 등 교내 구성원과의 활발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학과장 토론회에서는 교육부의 기준에 따른 유사․중복학과의 발전적 통합과 학과, 학문 분야 간 벽허물기 방안에 대한 토론 등이 있었다.□ 오용준 총장은 오늘 진행한 설명회를 비롯하여 향후에도 다양한 자리를 통해 글로컬대학30 사업 정보들을 공유하겠으며, 통합 기반 글로컬대학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구성원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4-06-11 10:25:18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